728x90
음계에서 음과 음의 간격의 크기를 음정이라고 배웠습니다. [음정]
이번에는 음정의 자리를 바꿨을 때 나타나는 음정의 변화인 자리바꿈 음정(Inverted intervals)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자리바꿈 음정은 간단히 첫음과 둘째음의 위치를 바꿨을 때 나타나는 음정입니다.
자리바꿈 음정은 기본 음정을 알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음정 도수의 변화
자리바꿈으로 음정이 바뀌었을 때 알아야 하는 것이 숫자 9입니다.
숫자 9는 전과 후의 음정의 숫자를 합쳤을 때의 숫자입니다.
예로 4도였던 음을 자리바꿈하면 9 - 4 = 5, 5도가 됩니다.
숫자 9만 기억하고 진짜 음전변화를 봐보도록 하죠~
2. 완전음정 ↔ 완전음정
완전 음정은 자리바뀌어도 똑같이 완전음정이 됩니다.
완전4도의 경우는 완전음정을 유지하면서 완전5도가 됩니다.
3. 장음정 ↔ 단음정
장음정은 단음정으로 바뀌고
장3도는 장음정이 단음정으로 바뀌면서 단6도가 됩니다.
4. 증음정 ↔ 감음정
증음정은 감음정으로 바뀝니다.
증4도는 증음정이 감음정으로 바뀌면서 감5도가 됩니다.
5. 왜 음정의 합이 9도인가?
7음계에서는 8도까지 있는데 왜 합은 9도인걸까요.
이유는 바로 음정이 바뀌면서 겹쳐지는 음이 있기 때문에 합이 9도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전체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의 관계식이 나오겠네요~
자리바꿈음정은 음정에 대한 기본내용만 잘 알고 있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