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계는 알다시피 7개의 음계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반음계로는 12개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음정이란 음과 음사이의 간격이 얼마나 나는지를 이해하는 단위를 말합니다.
그래서 음정이란 용어보다는 interval 이 바로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1.음정 도수
기본 음정의 단위는 '도'로 표현하며 계산하는 방법은 직관적으로 쉽습니다.
기준이 되는 음을 C로 할 때 각 음들간의 음정은 본인 음을 1도로 기준해서 8도까지 구성합니다.
보면 알다시피 기본 음정은 음계의 온음과 반음을 구분하지 않고 온음계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2. 음정 파해치기
방금은 음정을 계산할 때 온음과 반음을 구분하지 않고 계산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되다면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아래의 예를 봅시다.
- C - E : 3도
- D - F : 3도
C-E 는 모두 온음 간격의 3도이고 D-F 는 반음이 1개인 3도 엄밀히 말하면 2.5도인데도 같은 3도가 됩니다.
이런 것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처음에 볼 떄는 다소 복잡해 보일 수도 있으나 천천히 살펴보면 매우 간단한 원리인 음정의 관계도가 있습니다.
음정은 우선 완전음정과 / 장단음정으로 구분하고 기준이되는 음정에서 반음 단위로 올라가고 내려가고에 따라 위의 음정 계수도에 따라 그 음정의 간격을 구분하여 명칭합니다.
음정을 계산할 때는 1,4,5,8도는 무조건 완전음정을 기준으로 계산하고 2,3,6,7도는 장음정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계산방법은 음정별로 기준이 되는 반음의 갯수보다 많으면 계수도에서 반음의 갯수만큼 왼쪽으로 이동하고 적으면 오른쪽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반음의 갯수가 늘어나면 건반의 간격이 줄어든 것이므로 음정이 줄어들었다고하고 반음의 갯수가 줄어들면 건반의 간격이 그만큼 늘어났기 때문에 음정이 늘어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음정 별 기준 반음 갯수입니다.
- 1~3 도 : 반음 0개
- 4~7 도 : 반음 1개
- 8 도 : 반음 2개
음정을 계산하는 법을 배웠으니 위에서 봤던 예제를 다시 보도록 하죠~
- C - E : C-E는 3도이므로 장단음정입니다. 그리고 음 사이에는 반음이 없으므로 장3도라고 부릅니다.
- D - F : D-F는 3도이나 E-F가 반음이므로 기준보다 반음 1개가 많기 때문에 단3도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음정은 같은 '도'수가 같더라도 반음 단위로 크기가 차이나는 것을 단순한 계산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3. 화성학에서의 음정?
계산법은 배웠는데 개인적으로는 질문이 하나 남았습니다.
그런데 왜 이런식으로 나누고 있는걸까요??
예를 들어보죠,
- D-Fb : 3도이나 반음이 두개이므로 감3도입니다.
- D-E : 위의 D-Fb와 같은 음입니다. 하지만 여기선느 장2도입니다.
건반으로는 같은 음을 누르나 부르는 명칭은 다릅니다.
음악이라고는 도레미파솔라시도 밖에 모르던 제가 아직은 배우는 단계라 답은 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지난번에 조성을 공부할 때도 언급한 것처럼 C샵 과 B플랫이 같은 건반을 가르키지만 화성학에서는 다른 음으로 구분하는 것처럼, 음정 또한 같은 이유에서 인 것 같습니다.
특히, 화음에서 배우게 될 화성음에서의 원리를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음을 치고 싶은 마음에서 구분하여 부르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4. 음정 계산 연습
이제 배운걸로 연습문제를 풀어 봅시다~
- C - F : 우선 4도이니 완전음정에서 봅니다. 그리고 반음갯수도 E-F 사이에 한개만 있으니 기준갯수 1개와 동일해서 완전 4도입니다.
- B - D : B-D는 3도이니 장음정입니다. 하지만 기준 반음 갯수 0개보다 1개가 많으므로 단3도입니다.
- Fb - C# : 복잡한 것도 한번해보죠, F-C 는 5도입니다. 기준 반음갯수가 1개이나, F-C 사이에 있는 B-C가 반음이여서 한개, F에서 Fb 으로 음정이 늘어났으니 반음 한개, C에서 C#으로 음정이 늘어났으니 반음 한개, 총 반음이 3개이므로 겹증5도가 됩니다.
- F# - C# : 방금 계산한 것과 다르게 F가 반음이 올라갔습니다. 그러니 C#에서 늘어난 반음을 F#에서 보정하고 있으니 반음의 총갯수는 1개입니다. 그래서 완전5도가 됩니다.
내용별로 음정 계산이 복잡해 보일수는 있으나 찬찬히 보면 쉬운 관계이므로 잘 숙지하면 다음에 화음을 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