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3화음이란?
서로 다른 3개의 음이 모여서 화음을 이루는 것입니다.
대부분이 알고 있는 '도미솔' 과 같은 대표적인 음의 구성을 3화음이라고 합니다.
2. 음의 구성
화음에서 사용되는 3개의 음은 음의 위치에 따라 불리는 명칭이 있습니다.
근음이 화음의 베이스가 되는 음이고, 근음을 기준으로 화음의 코드를 부릅니다.
위의 음은 도-미-솔 C-E-G 이므로 C코드가 됩니다.
3. 화음의 종류
화음은 음정에서 배웠던 음의 간격을 3화음에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서 종류가 나뉩니다.
- 장3화음 (Major triad) : 장3도 + 단3도
- 단3화음 (Minor triad) : 단3도 + 장3도
- 증3화음 (Augmented triad) : 장3도 + 장3도
- 감3화음 (Diminished triad) : 단3도 + 단3도
4. 화음의 특징
화음은 베이스가 되는 근음의 위치에 따라 화음이 주는 역할이 달라지며 주 3화음과 부 3화음으로 구분합니다.
- 주 3화음 : 1, 4, 5도
곡의 뼈대 역할을 하는 중심 화음들 - 부 3화음 : 2, 3, 6, 7도
뼈대 중간중간의 살을 채우는 형용사 / 부사적 기능의 화음들
참고고 여기에서 1도란 도레미파솔라시도의 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조표에서의 첫번째 음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G Major scale에서의 1도는 솔이 됩니다.
음의 위치를 말할 때는 조표 구성에 따라 그 음이 shift되어 베이스가 바뀌기 때문에 이 기준을 잘 잡고 생각해야 합니다.
728x90
5. 화음의 전위 (Inversion)
화음의 전위란 화음 구성이 같으나 상하위치 자리를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C코드의 경우 E를 근음으로 전위한다면 C/E 로 표기하고 G를 근음으로 바꾼다면 C/G로 표기합니다.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