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배운데로 장음계와 단음계에 으뜸음(시작기준음)을 어떤 음으로 정하냐에 따라서 장조 단조가 결정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장조 단조의 음계를 표시하기 위해 조표(샵#, 플랫b)를 사용합니다.
조표를 쌓아 올리는 순서는 이제는 쉽습니다~
#샾은 파 - 도 - 솔 - 레 - 라 - 미 - 시
b플랫은 시 - 미 - 라 - 레 - 솔 - 도 - 파
그럼 다음은 악보를 볼 때 조표의 갯수에 따라 어떤 장조인지 단조인지를 계산해 내야 합니다.
방법은 쉽습니다~
조표는 마지막의 조표의 온음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만약에 샾이 한개라면 시#이 되는데 아래의 표에서 시를 기준으로 하면됩니다.
조표 | 장조 | 단조 |
샾# | 1온음을 올린다. | 반음을 내린다. |
플랫b | 3온음을 내린다. | 3반음을 올린다. |
위의 테이블을 이용해서 몇가지 예시를 계산해봅시다.
1. 샾 장조 계산하기
샾# 이 3개인 경우 파 - 도 - 솔 , 마지막 샾이 솔입니다. 그러면 솔에서 1음을 올리면 라, 라는 A이므로 A Major (올림가장조)가 됩니다.
2. 샾 단조 계산하기
샾# 이 4개인 경우 파 - 도 - 솔 - 레, 마지막 샾이 레입니다. 레에서 1반음을 올리면 D# Major (올림라장조)가 됩니다.
3. 플랫 장조 계산하기
플랫b 가 2개인 경우 시 - 미, 마지막 플랫이 미입니다. 미에서 3온음을 내리면 Bb 이 됩니다. B가 아니라 Bb 됩니다. 왜냐면 시와 도가 반음이므로 도에서 1음 내리면 Bb으로 가기 때문입니다.
4. 플랫 단조 계산하기
플랫b 가 6개인 경우 시 - 미 - 라 - 레 - 솔 - 도, 마지막 플랫이 도입니다. 도에서 3반음을 올리면 Eb 이 됩니다. D# 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우리는 플랫 조표를 쓰고 있기 때문에 플랫을 쓰는 음으로 찾아야 하기 때문에 Eb으로 부릅니다.
그리고 조표 계산법을 반대로 적용하면 Major, Minor scale이 주어질 때 샾 또는 플랫을 몇개 그려야 할지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