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전도율은 물리학에서 어떤물질의 열전달을 나타내는 수치다. k로 나타내며, W/(mK)와 동의하다.
예를 들면, 공기의 열전도율은 0.025 W/(mK)로 낮으며, 구리의 열전도율은 약 401 W/(mK)이다.
열전도율의 측정방식은 열선법(Hot wire method), 열유속법 (Guarded Heat flow method), 열평판법 (Guarded Hot plate method), 레이저펄스법으로 구분되며 재료의 열전달 능력을 정확이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측정법이 개발되었다.
열전도율 기본 공식 Q=k(ΔT/L)
Q=열류량(W/㎡) k=열전도율(W/mK) L=시료두께(m) ΔT=온도차
이걸 단위 환산 해보면
401 [W/m.C] 은(는) 344.7452751885099 [kcal/m.h.C]
입니다.
그리구 자료에 의하면 구리의 열 전도율은 약
300-340 kcal/mhr'C 라고 합니다.
------------------------------------------------------------------------------
알루미늄 비열은 0.211 이고
철 비열 0.104
구리 0.092
입니다.
단위는 모두kcal/kg*k 입니다
열량 계산은
Q=C*m*t
열량= 비열*질량*열을 가한 시간
--------------------------------------------------------------------------------
구리 도체 전도율 측정 시 0.0177Ω㎟/m 이하의 값이 합격이라고 합니다.
위의 측접 값을 오옴으로 바꾸는 계산 방법 아시는 분 없나요?
부탁 드립니다.
전도율(도전율)값을 ohm으로 바꾸는 방법
[Ωm] 단위는 비저항(특성저항, 저항률) 값을 의미합니다.
1[Ω㎟/m]는 길이 1[m], 면적 1[㎟]일 때 전기저항이 1[Ω]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도율이 아닌 비저항의 단위입니다.
전기저항 R[Ω]은 위 수식과 같이 비저항 ρ, 길이 l[m] 에 비례하고, 면적 A[㎡]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비저항 ρ 의 단위는 R * (A/l) 에 의해 [Ω㎡/m]로 정의되죠.
즉, 동일한 도체를 사용한다 할지라도 도체의 전기저항은 길이와 면적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특정 도체의 전기저항을 표현할 때엔 비저항으로 표현하게 됩니다.
만약 [Ω] 단위로 구리 도체의 전기저항을 표현하시려면 길이, 면적을 결정한 후
위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전도율은 비저항의 역수이기 때문에 [S/m]를 사용합니다. ( [1/Ω]=[S] )
--------------------------------------------------------------------------------
1.열량(Q) = 물체의 질량(kg) × 비열(kcal/kg℃) × 온도차(℃)
2. 2시간 동안 물의 온도를 50도에서 80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히터의 용량(kcal)
= 물의 질량[200리터×물의 비중량(1kg/ℓ)]×물의 비열(1kcal/kg℃)×온도차(30℃ : 80-50)
= 200kg×1kcal/kg℃×30℃ = 6,000kcal
3. 따라서 히터가 1시간동안 출력해야 할 열량을 계산하면
= 6,000 ÷ 2 = 3,000kcal/h
둘째, 전기히터의 소비전력값을 계산합니다.
4. 히터의 용량(KW) = 필요한 열량(kcal/h) ÷ 1KW의 발열량(860kcal/kw)
5. 계산된 열량(3,000kcal/h)을 필요한 전기동력량(KW)으로 환산하면
※ 1KW의 발열량 = 860kcal
그러므로 필요열량(3,000kcal/h)을 1KW의 발열량(860kcal/KW)으로 나눠주면
3000 ÷ 860 = 3.488KW입니다.
따라서 200리터의 물을 2시간 동안 50도에서 80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히터의 총 열량은 6000Kcal(2시간의 발열량)이며, 1시간동안에는 3000kcal/h가 필요합니다.
1시간 동안 3000kcal를 발열할 수 있는 히터의 용량은 위의 계산식에 따라 약 3.5KW입니다. 물론 히터의 효율이 100%일 때입니다.
--------------------------------------------------------------------------------
1.금속의 공통적 성질
①실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Hg 제외)이다
②빛을 반사하고 고유의 광택이 있다.
③가공이 용이하고 전, 연성을 갖는다.
④열, 전기의 양도체이다.
⑤비중이 크고, 경도 및 용융점이 높다.
2.경금속과 중금속
비중 4.5이하를 경금속 그 이상을 중금속으로 구분
경금속:- Al(알루미늄), Mg(마그네슘), Be(베릴륨),
Ca(칼슘), Ti(티탄), Li(리듐),
중금속:- Fe(철), Cu(구리), Cr(크롬), Bi(비스무트)
Cd(카드늄), Ce(세륨), Co(코발트), Mo(몰 리브덴), Pb(납), Zn(아연), Ir(이리듐 : 비 중 22.5로 비중이 가장 높은) 등.
용융점:- 물체의단위 길이에 대하여 온도가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단위는 ㎈/g℃이다
선팽창계수:- 물체의 단위 길이에 대하여 온도가
1℃만큼 높아지는데 따라 막대의길이가
늘어나는 양이다.
열전도율:- 거리 1㎝에 대하여 1℃의 온도차가 있을
때 1㎠의 단면을 통하여 1초간에 전해지는
열량으로 단위는 ㎈/㎝․sec․℃이며 열전
도율이 좋은 금속은 은>구리>금>알루미늄
등의 순서이다.
전기 전도율:- 전기 전도율은 은>구리>금>알루미
늄>마그네슘>아연>니켈>철>납>안티몬 등
의 순서로 좋아진다.
금속 및 합금의 성질:- 금속에는 노랑색, 회백색 등
이 있으며 합금에는 자색, 붉은색, 황금색,
흰색이 있다. 금속 색깔은 탈색력이 큰
수은>니켈>알루미늄>철>구리>아연>백금
>은>금 등의 순서로 탈색된다.
항복점:- 금속 재료의 인장시험에서 하중을 0으로부
터 증가시키면 응력의 근소한 증가나 또는
증가 없이도 변형이 급격히 증가하는 점에
이르게 되는데, 이점을 항복점이라 하며 연
강에는 존재하지만 경강이나 주철의 경우는
거의 없다.
연성:- 물체가 탄성한도를 초과한 힘을 받고도 파괴
되지 않고 늘어나서 소성 변형이 되는 성질
로서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백금, 납, 아연,
철 등의 순으로 좋다.